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2

시각 우리가 뒷머리를 어디엔가 강하게 부딪히게 되면 순간적으로 눈으로 빛을 본 것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시각 경험을 일차적으로 관장하는 시각피질이 뇌의 뒷부분에 있는데, 이 부분이 물리적 충격으로 인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시각 경험이란 것은 궁극적으로 시각 경험에 관여하는 신경 체계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된 것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우리의 시각 경험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시각 체계가 기능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빛의 속성과 눈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기초 지식이 필요하다. 물리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넓은 의미의 빛은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를 지칭한다. 전자기파를 파장에 따라 분류하면, 파장이 짧은 감마선으로부터 엑스선, 자외선, 가시광선, .. 2023. 7. 7.
뇌 연구 방법 생물심리학에서는 많은 경우 동물을 이용해서 실험을 수행한다. 그 이유는 첫째로 포유류의 신경계는 종간에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고, 둘째로 여러 가지 실험 조건을 통제하기가 쉬우며, 셋째로 무엇보다 침습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동물 연구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손상 연구다. 화학 물질이나 전극을 삽입해서 특정 뇌 부분의 조직을 파괴하거나 제가 하여 손상 전과 후에 또는 손상을 입은 개체와 그렇지 않은 개체를 비교해서 행동과의 연관성을 알아내는 방법이다. 또한 자극법을 이용하여 동물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했을 때 보이는 행동 변화를 관찰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드물지만 뇌종양 혹은 뇌전증 발작의 치료를 위해 뇌수술할 경우에는 사람의 죄에도 자극용 전극을 삽.. 2023. 7. 7.
신경 가소성과 뇌의 기능적 유연성 뇌 신경계의 가장 원시적인 기능은 운동 기능이다. 아마도 진화의 초기에 출현한 원시적인 동물은 근육을 움직이기 위해 신경계를 진화시켰을 것이다. 어떠한 동물이든지 먹이를 찾아서 움직이거나 위험을 피해서 도망가야 한다면 근육을 사용해서 방향성이 있는 움직임을 발생시켜야 하고, 따라서 효율적으로 움직임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근육 다발들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신경계가 필요할 것이다. 움직이지 않는 동물은 신경계가 필요하지 않다. 단적인 예가 멍게이다. 멍게는 헤엄쳐 돌아다니는 유생 시기에는 뇌와 척수를 포함한 완성된 신경계를 가지고 있지만, 성체가 되어 바위에 고착하게 되면 대부분의 신경계를 흡수해 버린다. 움직이지 않는다면 굳이 에너지 소비가 심한 신경계를 유지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신경계의 또 다른.. 2023. 7. 6.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신경계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져 있고,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 즉 주로 감각 및 운동 신호의 전달을 담당하는 체성신경계와 자동적인 반응을 담당하는 자율신경계를 합하여 일컫는다. 말초신경계는 체성신경계와 자율신경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체성신경계는 우리 몸 여러 군데에 위치한 감각기관에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감각신경과 우리 몸의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체성신경계는 대체로 우리의 생각대로 통제할 수 있는 수의근으로 신호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우리가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내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일 때 체성신경계가 활동하고 있을 것이다. 반면에 자율신경계는 주로 호르몬이나 체액을 분비하는 분비샘이나 의식적으로 통.. 2023. 7. 6.